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감정 중, 가장 고차원적인 고통을 통감하게 하는 것은 다른 것보다도 ‘외로움’이 아닐까 싶다. 극한의 분노는 한순간에 불타올랐다가도 금방 사라진다. 사무치게 슬픈 감정도 역시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결국 언제 그랬냐는 듯 사라진다. 우리는 신체적인 고통은 충분히 참을 수 있다. 살면서 뇌가 받아들일 수 있는 고통의 역치를 넘어서 쇼크가 와서 기절하는 경우는 한 사람의 인생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다. 그런데 외로움은 앞서 언급한 감정들과는 결이 조금 다르다. 외로움은 파괴적이며, 지속적이고, 뒤끝이 있다. 외로움은 인간이라는 한 개체를 서서히, 그리고 아주 고통스럽게 죽일 수 있을 정도로 파괴적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 인간들은 유독 외로움에 취약할까? 왜 우리는 꼭 누군가와 더불어..

커다란 성장이라는 꽃은 항상 외로움과 고독 속에서 핀다. 고통없는 성장은 없고 성장없는 고통은 없다. 우리는 살아가는 시간동안 많은 사람과 상호작용한다. 하지만, 혼자 있는 시간이 결국 인생 전반을 놓고 보았을 때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혼자 있는 시간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보내는지가 우리의 삶의 꽤 많은 부분을 결정한다. 외로움과 고독은 고통스럽게 느껴질 때가 많다. 그럴 때마다 인간이라는 존재의 피할 수 없는 숙명을 떠올리면 좋다. 우리 삶은 결국 고독하다. 고독과 외로움이 우리 삶의 디폴트 값이다. 하지만, 많은 이들은 행복감이나 쾌락을 느끼는 순간을 디폴트 값으로 착각한다. 행복이나 쾌락같은 감정은 우리 삶에 주어지는 부가적인 보너스일 뿐이다. 그것들에 대해서는 그저 온전히 감사하면 되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생
- 헤어짐
- 우울
- 레드필
- 사랑
- 발전
- 인간관계
- 테슬라
- 일론 머스크
- 철학
- 미션
- 행복
- 고독
- 재회
- 불교
- 이별
- 파도
- 자유로운 삶
- 연애
- 니체
- 무기력
- 도지코인
- 건축공학과 진로
- 만남
- 외로움
- 알파남
- 명상
- 스페이스엑스
- 공허
- 건설사 취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